Category Archives: 음성학

Zotero의 한글 표기: ‘조테로’는 틀리지 않았다

이 포스트에서 나는 파이어폭스 애드온에서 시작한 참고문헌 관리 소프트웨어의 이름인 Zotero의 한글 표기에 ‘테어’를 쓸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려고 한다. 지금까지 당연히 ‘조테로’라고만 말하고 써 왔고 다른 가능성은 상상도 하지 못하다가 이러한 글을 쓰게 된 것은, Zotero는 ‘조테로’가 아니라 ‘조테어’라고 언급한 블로그 포스트를 우연히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조테어’라는 표기는 Zotero 홈페이지 첫머리의 소개글에 명시된 [zoh-TAIR-oh]라는 발음 설명에서 비롯한 듯하다. ((정말 이것을 충실하게 따랐다면 ‘oh’에 해당하는 표기도 있어야 할 터이다. 그러나 2012년 5월 23일 현재 구글 검색에서 ‘조테어’의 결과는 500 건 이상인 반면 ‘조테어로’나 ‘조테어오’의 결과는 0 건이다. 하지만 어쨌든 ‘테어’의 연원을 TAIR 이외에서 달리 찾지 못하였으므로, 이후의 논의에서는 ‘테어’가 홈페이지에서 언급된 TAIR에서 나왔다는 가정을 유지하겠다.))

일단 Zotero의 발음을 국제음성문자로 표시한 문건을 찾아보았다. 위키백과 영문판 항목에는 /zoʊˈtɛroʊ/라고 되어 있다.  The Ideophone이라는 블로그의 “The etymology of Zotero”라는 포스트에서는, 영어 사용자라면 대부분 [ˌzɔˈtɛɹoʊ]라고 발음하고 있으리라고 서술하고 있었다. 어느 쪽이든 「외래어 표기법」 제2장의 표기 일람표를 따르자면 ‘조테로’라고 표기하게 된다.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이 ‘원음’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불신하는 이라면 ‘조우테로우’라고 적을 수도 있을 터이다.)) ‘테’ 뒤에 ‘어’를 넣을 이유가 없다.

물론 이러한 ‘외부인’의 시각보다 ((위키백과 영문판 항목에서 국제음성문자를 처음 사용한 버전이나 현재의 표기로 바꾼 버전을 작성한 이들이 Zotero 개발에 관여한 것 같지는 않다.)) 개발자 본인의 설명을 더 신뢰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Zotero는 이러한 입장에서도, 아니, 이러한 입장에서야말로 더욱 ‘조테로’가 된다. 위키백과에 나온 국제음성문자 표기야말로 홈페이지의 발음 설명을 충실히 따른 결과이기 때문이다.

[zoh-TAIR-oh]는 발음기호가 아니라, 영어 사용자가 발음을 유추할 만한 영어 단어의 철자로 표기된 것이다. 이때,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이가 철자 AIR에서 유추할 수 있는 것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이가 유추하는 것과 같다는 보장이 없다.

여기에 비유할 만한 상황으로 한국어의 예를 들어보자. 표준국어대사전을 비롯한 한국어 사전에서 ‘신랄하다’를 찾으면 [실—]이라고 나온다. 즉, ‘신랄’이라고 쓰고 [실랄]이라고 읽는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한국어 사용자라면 [실랄]을 보고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다. 특히, ㅅ와 ㄹ을 본인도 인지하지 못한 채 자동으로, [사랑]의 ㅅ와 ㄹ과는 다르게 발음한다. 그런데 한국어를 외국어로서 접하여 ㅅ는 s로, ㄹ는 r로 대응된다는 지식이 있는 영어 사용자가 [실랄]이라는 발음 설명을 보았다고 해 보자. 이 학습자가 한국어에서 ㅅ와 ㄹ의 발음이 출현 환경에 따라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모르는 채 각 부분을 기계적으로 대응시키기만 한다면 이 단어를 ‘sirrar’이라고 표기하고, 심지어는 이러한 표기를 다시 영어 철자에 유추해서 ‘신랄’의 [실]을 영어의 ‘sir’처럼 발음할지도 모른다. 즉, 국제음성문자가 아니라 해당 언어의 철자로 발음을 유추하도록 한 설명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해당 언어의 자음과 모음이 출현 환경에 따라서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알아야 할 수도 있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Zotero를 [zoh-TAIR-oh]라고 쓴 의도를 살펴보자. TAIR라는 설명이 없을 때 영어 사용자들은 철자 ‘er’나 ‘ero’를 보고 ‘ter’를 ‘butter’에 나온 것처럼 발음하거나, ‘ero’를 ‘hero’에 나온 것처럼 발음했을 가능성이 크다. 즉, TAIR의 주된 의도는 철자 e를 ‘butter’나 ‘hero’ 에서와는 달리 ‘air’의 모음과 같이 /e~ɛ/로 발음하도록 하는 것이다. 영어 사용자와는 달리 철자 e에서 ‘에’를 가장 먼저 생각할 가능성이 클 한국어 사용자에게는 이것이 신기한 일이 아니다. 대신 한국어 사용자들은 뜻밖에도 /e/ 뒤에 /ə/가 있으리라고 생각하게 된다. 특히 ‘air’를 ‘에어’로 표기하는 데서 이러한 유추가 쉽게 일어날 것이다.

‘air’의 발음은 영국 영어(용인 발음; Received Pronunciation)에서는 /ɛə/, 미합중국 영어(General American)에서는 /er/이다. ((

Giegerich, Heinz J. English Phonology: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63면.

)) ((사전에서는 다르게 표기하기도 한다. 팜톱에 설치된 영어사전 네 종류에서 ‘air’를 각각 찾아본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사전 영국 미국
Oxford Advanced Learners’ English-Korean Dictionary eə(r) er
Collins Cobuild Advanced Dictionary of English 구분 없이 eər
Cambridge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r er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구분 없이 ɛː

)) ‘어’라고 쓸 만한 모음은 영국 영어에만 있는 셈이다. 미국 영어라면 ‘어’를 쓸 필요가 없다. Zotero가 합중국에서 개발되기는 했지만, 그래도 「외래어 표기법」 제3장 제1절 영어 표기에 나온 사례에 표기된 발음이 다 영국 영어식이니까 ((외래어 표기법에서 영어의 표기는 용인 발음을 따르겠다고 명시한 구절을 찾지는 못하였다.)) 영국 영어를 따라서 ‘어’를 넣겠다고 주장할 여지가 있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 영어 음소 /ɛə/가 나타나는 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air’, ‘hair’, ‘bear’ 등에서는 /ɛə/가 단어 끝에 나타나지만, Zotero에서는 그렇지 않다. 이렇게 모음 앞에서 나타나는 경우 /r/이 발음되고 ((위의 책, 66면. “Nonrhotic accents do have postvocalic /r/ if it is at the same time part of a syllable onset rather than a rhyme; in other words, if it is intervocalic.”)) /ə/가 사라진다. ((같은 곳. “The vowel phonemes that occur in this context are essentially those of the basic system rather than the ones of the secondary system given in table 3.5. Thus we can get /ir/ (lyrics), /ɛr/ (herring), /ʌr/ (hurry), /ar/ (marry) etc. (강조는 인용자)”)) 즉, 영국 영어식 발음을 따르더라도 ‘어’를 넣을 이유가 없다. ‘Mary’를 ‘메어리’가 아니라 ‘메리’라고 쓰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영어 사용자의 발음에서 ‘어’스러운 소리가 들릴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혀가 e에서 r로 이동하는 사이에 ə의 위치를 지나다 보니까 있을 수 있는 경우이지, 영어 사용자가 e와 r 사이에 ə가 있음을 인지하고 이것을 발음해야겠다고 작정해서 나온 소리는 아니다.))

잘못된 추론의 일례

지난 몇 년 동안 고민하던 문제가 있었고 그것이 얼마나 뻘짓이었는지 알아 버렸다.

언어학 전공자들 사이에서 비공식적으로 통용되는 관찰: 귀여운 발화에서는 조음 위치가 앞으로 이동한다. ((사실 완전히 비공식적인 것은 아니다. 젊은 세대들이 치조음을 치음으로 낸다는 기술은 여러 책에 나오는데, 책을 찾으러 돌아다니기 귀찮으니까 서지사항은 나중에 써야겠다. 사실 이런 식으로 출처를 묻어버린 일이 적지 않… 잘못했어욤.))

– 지지하는 사례: 치조음의 치음화, 후설 모음의 전설화

– 반례: 치조음의 경구개음화?

이 바보. 저게 어떻게 반례가 돼. 입천장(경구개)이 윗잇몸(치조)보다 뒤에 있다고 해서 경구개음이 치조음보다 뒤에서 날 것으로 생각해 버리다니. (설첨-)치조음을 낼 때는 혀끝이 윗잇몸에 있지만, (설면-)경구개음에서는 혀끝이 더 앞으로 나와서 아랫니에 닿잖아?

그래도 어떻게든 변명을 해 보자면, 자음에 이름을 붙일 때 조음 위치의 수동부만 명시하는 관례에도 일말의 원인이 있지 않을까… ((자음의 이름은 `무성 유기 연구개 파열음’처럼 `성+기식+조음 위치+조음 방식’이 된다.)) 하지만 2007년 2학기 바스크 어 발표 이후로 관례야 어쨌든 설면-치음, 설첨-치조음처럼 능동부까지 꼬박꼬박 적어 온 것도 나니까 할 말이 없다. 잘못된 추론의 일례로 두고두고 써먹고 싶지만, 언어학을 공부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통하지 않겠군.

덧붙임_조음 위치는 능동부와 수동부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아지는 지점을 말하니까, 경구개음이 치조음보다 뒤에서 난다는 말을 꼭 틀렸다고 볼 수 있나 싶기도 하다. 그냥 귀여운 발화에서는 혀가 앞으로 나온다고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조음음성학-키스테크닉 드립 포기

`조음음성학을 공부하면 키스테크니션이 될 수 있어요’는 지난 몇 달 동안 상당히 흥했던 개드립이었지만, 최근 인과 관계의 방향이 잘못 설정되었음은 물론 상관 관계가 있는지조차 의심스럽다는 판단이 들어서 전공 개그에서 사기를 치면 곤란하다는 생각에 그만 포기하기로 했다. 어제 ㅇㅈ님과 주고받은 SMS를 무단 인용하자면 다음과 같다.

(전략)

ti: 그리고 나는 조음음성학키스테크닉을 포기하기로 했…

ㅇㅈ: 엥 왜??

ti: 열심히 생각해 봤는데 사실이 아닌 것 같아(…).

ㅇㅈ: 음성학적으로 아무리 정교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도 키스의 감의 진수에는 도달할 수 없다는 건가…

ti: 도달할 수 없다기보다는 다른 영역인 것 같아 음성학에서 다루는 것은 특정 소리를 목표로 하는 움직임이지만 키스는 가능한 한 많은 자극을 주기 위한 움직임이고 결정적으로 상대의 움직임을 내가 계산할 수 없어

ㅇㅈ: 음 ㅠㅠ 정말이군 ㅠㅠ 역시 경험치를 쌓는 편이..

ti: 결국 키스를 열심히 하면 조음음성학을 잘 할 수 있다는 암울한 결론 ((정확하게 말하면 함의 관계까지는 아니고, `키스테크니션은 조음음성학을 잘할 수 있어요’ 정도의 주장이나 겨우 가능하다는 정도.))

ㅇㅈ: 앗 왠지 불공평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뭘까 ㅋㅋㅋㅋ

ti: 예수님도 말씀하셨지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ㅇㅈ: 부익부 빈익빈 ㅜ 언어학을 하기 전에 나가서 키스나 많이 하고 다녀야겠어요>_<

(후략) ((거듭 말씀드리지만 모든 언어학과 학생들이 이딴 대화를 하지는 않습니다.))

어쨌든 나의 언어학 개그는 기술적이고 ((여기서 기술은 記述과 技術 모두를 말한다. 한자에 익숙하지 않을 아무개를 위해 영어로 쓰면 descriptive와 technical을 동시에 말한다능. 😉 )) 세부적인 부분밖에 다룰 수 없는 것인가(…). 가지와 이파리만 주워 모으는 인생이니까, 배고픔에 낚여서 빡친 예수 그리스도의 저주로 평생 열매를 못 맺게 될지도. ((마태복음 21장 18~19절.))

어느 언어학과 학생의 츤데레 및 말라가시 어 잡담

1_[어느 언어학과 학생의 ***] 시리즈 중에서는 처음으로 실화를 써 본다. 이것을 받아서 만담으로 이어줄 사람이 이제 없으니까 그냥 일회성 개드립으로만 남겠구나.

따, 딱히 당신이 원해서가 아니야! 그냥 내 언어습득 능력을 가늠해보고 싶으니까, 오스트로네시아 어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접해본 적이 없어서 이참에 알아보고 싶으니까 찾아볼 거라고! 그것뿐이야!

이런 이유로 말라가시 어 자료를 틈틈이 찾아보기로 했다. -_-v 그런데 인터넷에서는 위키백과를 제외하면 일반 언어학을 기준으로 하는 서술을 도무지 찾을 수 없다. 이 소리는 프랑스 어의 무슨 소리처럼 내라는 설명 말고 구체적인 조음 위치를 좀 내놓았으면 좋겠다. 내가 말라가시 어 소리를 받아들일 때 프랑스 어 화자의 청각 인상을 거칠 필요는 없지 않은가.

어떻게 보면 이런 불평도 그냥 사치스러운 이야기이다. `오지’ `선교’를 목적으로 어학을 공부하는 이들은 아무 정보도 없는 상태에서 그냥 해당 언어의 발화를 듣고 음소를 뽑아내는 것부터 훈련한다고 하는데, 기독교도의 성실성에 뒤지는 것을 상당한 치욕으로 생각했던 기간이 짧지 않았던 것을 생각하면 이미 문자 체계가—그것도 새로 익힐 것도 없는 라틴 문자로—잘 갖추어져 있고 내가 해독할 수 있는 영어나 프랑스 어로 된 학습서와 연구서를 구할 수 있는 언어는 그냥 차려진 밥상과 다를 것도 없다. (( 무, 물론 그렇다고 익히기 쉽다는 것은 아니다. =_=)) 우걱우걱.

그런데 차려진 밥상이든 무엇이든 말라가시 어에 대한 나 자신의 동기가 강해야 말이지(…).

2_어쨌든 처음에 말라가시 어 이야기가 나온 계기는 알릴 만하다.

http://bit.ly/9sFDaO ..마다가스카르 정국에 한국 기업의 행위가 이런 영향을 끼쳤다니. 정신 박힌 언론이라면 광우병 따위 집어치우고 당장 안타나나리보로 날아가서 기획기사를 써라

이하의 내용은 트윗의 링크로 대체합니다. 어절마다 링크가 다르니까 주의하세욤. 그나저나 이 이야기가 나온 곳이 엔하위키와 2ch라니 그것은 그것대로 무섭다(…).

3_사실 나는 이미 여러 해 전에 말라가시 어의 존재에 큰 영향을 받은 적이 있다. 음성학을 처음 배웠을 때 유성 장애음의 조음에 쉽게 익숙해지지 않아서 앞에 비음을 살짝 집어넣는 버릇이 있었는데,  말라가시 어에서 /t·d/와 /nnd/가 음소로서 대립한다는  글을 [언어학의 수리적 기초] 스터디 때 읽고 나서 불성실한 조음을 반성하고 유성 파열음을 온전한 구강음으로 실현하는 데 힘쓰게 되었…지만 여기에 감동하는 사람이 있을 것 같지 않다. 쳇.

/저질언어학개그/ 조음 음성학은 어떻게 키스에 도움이 되는가

[ [저질 언어학] 개그 ]가 아니라 [ 저질 [언어학 개그] ]입니다.

오랜만에 술을 마셨다.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고 애교를 부리다가 이불 속에 들어와서 아래 글을 썼다. 나는 주사를 말로 부리는 편인 것 같다. 행동으로 하는 쪽이 오히려 뒤끝이 없을 것 같은데. 이것은 언어학 개그가 아니라 자학 개그다. OTL

조음 음성학에서는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방식을 다룹니다. 인간의 말소리는 공기가 폐나 목, 입, 혹은 입 밖으로부터 코나 입을 거쳐서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생기는데, 이때 각 소리의 특성은 주로 코와 입 안의 모양에 따라 결정되고, 코와 입 안의 모양은 혀와 입술, 목젖, 여린입천장 등의 위치와 움직임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공기가 통과하는 소리통 역할을 하는 코와 입 안의 모양을 결정하는 신체 부위를 조음 기관이라고 하고, 조음 기관 중에서 인간이 자기 의지로 움직일 수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각각 능동부와 수동부라고 부릅니다. 조음 음성학에서는 능동부의 어떤 부분이 수동부의 어떤 부분에 어느 정도로 가까이 가는지를 가지고 말소리를 기술하므로, 결국 대표적인 능동부인 혀와 입술을 어떻게 움직이는지 파악하는 것을 주로 공부합니다. 따라서 조음 음성학의 지식은 혀와 입술의 움직임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행위인 키스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봅시다. 우선 모국어의 음성학을 배우는 단계에서는 이미 익숙한 소리의 조음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자기가 혀와 입술의 어떤 부분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구체적으로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는 외국어의 음소, 혹은 더 나아가서 추상적인 소리를 기술하고 조음해 보면서 자기의 혀와 입술의 움직임을 세밀한 부분까지 직접 통제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훈련을 받으면 키스를 할 때 단순히 `감’에 따라 깨물거나 비비거나 핥거나 빠는 데 그치지 않고 자기가 어디를 자극받고 있는지와 어디를 어떻게 자극해야 할지를 아는 동시에 목표한 자극을 위해 자기의 혀와 입술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특히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훈련은 실제 키스 경험이 없어도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공연히 서투른 키스로 상대에게 부끄러운 흑역사를 남길 필요가 없습니다. 반대로 너무 능숙한 테크닉 때문에 상대가 과거를 의심하더라도, 조음 음성학을 배웠기 때문이라고 당당하게 해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음 음성학은 키스 테크닉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상대를 안심시킬 수도 있습니다.

또한, 키스에 참여하는 두 사람이 모두 조음 음성학을 공부했다면 자기가 상대를 리드하는 것을 넘어서 자기의 요구를 상대방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것까지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의미로 보면 키스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말은 이인 합동 조음일 것입니다. 달콤하고 끈적끈적한 크렘 드 카카오 화이트(Crème de Cacao White)를 윤활제로 입안에 머금고 이인 합동 조음을 연습해 봅시다. 해피 발렌타인!

티셔츠를 입어 주세요

이 포스트는 2010년 1월 23일까지 최상단에 놓습니다. 또한 본문 퍼가기를 매우 권장합니다.

아래 문구가 적힌 옷이나 가방을 착용해 주실 분을 모집합니다.

Articulatory phonetics improves your kiss technique.
(조음 음성학을 공부하면 키스 테크니션이 될 수 있어요.)

지금까지 찍었던 어떤 도안들보다도 더 공들여서 만들겠습니다. 도안 형태도 가능한 한 입어 주실 분께서 원하시는 대로 짜겠습니다. 제작 비용은 물론, 배송비가 들더라도 제가 모두 부담하겠습니다. 받아서 서랍 속에 묵혀 두지 말고 입어 주시기만 하면 됩니다.

입어 주실 분은 아래 사항을 원하시는 대로 기재하셔서 2010년 1월 23일까지 이메일을 보내 주세요.

  • 물건: 티셔츠, 와이셔츠, 가방 등
  • 색상
  • 치수

이름음소점

점이라는 것은 이렇게 터무니없다니까요.

  • 공명음으로만 된 이름을 가진 윤미래 씨는, 성격이 온화하고 다른 사람들과 잘 화합하는 사람입니다. 다만, 너무 온순한 성격 때문에 눈에 띄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안타깝습니다. 자기 의견을 좀 더 적극적으로 개진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 박준형 씨의 이름에서는 자음 음소가 조음 위치 및 조음 방식별로 골고루 분포할 뿐만 아니라 모음에서도 높이와 원순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방면에 재능을 보이면서 다이내믹한 생활을 즐깁니다. 한 가지에 꾸준하게 몰두하지 못하는 점만 극복한다면 더 멋진 사람이 될 수 있겠지요.
  • 이휘소 씨의 이름을 발음할 때에는 기류가 막히는 일이 한 번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한 번 마음먹은 일에 대해서는 거침없이 진행할 수 있는, 강인한 추진력의 소유자입니다. (이하 생략)

하지만 한국어에서는 한글 표기만으로도 음소를 쉽게 뽑아낼 수 있으니까, 대략 아래와 같은 정도로만 설정해도 그럴 듯하게 프로그램을 짤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실제로 만들거나 믿으면 곤란합니다. 하지만 조음음성학 초급 연습문제로는 괜찮지 않을까요? 🙂

[주요 파라미터]

  • 자음: 조음 위치, 조음 방식, 공명도, 기식성
  • 모음: 높이, 위치, 원순성
  • 음절: 초성 존재 여부, 종성 존재 여부
  • 파라미터 분포의 통일성/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