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qtree

라텍 대활약

언어학 문서를 라텍으로 작성할 때 얻을 수 있는 편리한 점을 몇 가지만 나열해 보자.

  • 국제음성기호를 넣을 때 문자표를 따로 불러와서 원하는 기호를 일일이 찾고 복사한 다음 붙여 넣을 필요 없이, 본문을 입력하는 그대로 원하는 자리에 기호의 이름(\textesh, \textopeno 등)을 쓰면 된다.
  • 본문에 예문을 인용할 때 예문의 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대신 각 예문에 자기가 붙인 라벨 이름을 쓰기 때문에, 중간에 다른 예문을 삽입해서 예문 번호가 바뀌더라도 본문에 인용된 번호를 일일이 찾아서 고칠 필요가 없다.
  • 수형도를 그릴 때 다른 워드 프로세서에서처럼 각 노드의 위치를 정하고 일일이 선을 긋지 않는다. [ [meidi].NP [ [needs].V [ [some].D [love].NP ].DP ].VP ].S 처럼 문장 성분의 구조를 대괄호로 묶어 주면 저절로 수형도가 된다.

자기가 키보드로 입력하는 내용과 나중에 출력물에 나타날 모습이 같지 않다는 데서 오는 낯섦만 극복하면 직관에 들어맞는 문서를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 우리가 언어학 책이나 논문을 읽고 발표나 토론을 할 때 `11번 예문’처럼 예문의 번호를 직접 언급하기보다는 `상원의원 예문’, `froze 예문’처럼 각 예문의 특징적인 단어를 사용하는 일이 더 많다. 중간에 다른 예문을 추가한다고 해서 우리가 예문을 기억하는 방식이 바뀌지도 않는다. 라텍에서 문서를 작성할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번 학기에 듣는 언어학과 전공 수업에서 발표문을 만들 때에도 라텍의 언어학 패키지를 활용할 일이 많았다.

  1. tipa의 활약: [응용음성학] 북경어의 모음
    http://frozenfiremeidi.net/blog/wp-content/uploads/2009/10/mandarin-vowel.pdf
    국제음성기호로 제3성을 표시하는 것은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입력기에서조차 쉽지 않다.
  2. qtree와 gb4e의 활약: [언어학연습 2] 한국어와 영어의 결과구 형성에 대한 제약
    http://frozenfiremeidi.net/blog/wp-content/uploads/2009/10/resultative.pdf
    발제하려고 읽은 논문부터 라텍으로 작성되어 있다. (( Jong-Bok Kim, “Constraints on the formation of Korean and English resultative constructions,” in PROCEEDINGS-NELS, vol. 29, 1999, 137–1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