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모음 사각도

TIPA & Vowel : LaTeX에서 모음 사각도 그리기

언어학 페이퍼를 작성할 때 주로 사용하는 라텍(계속 레이텍이라고 했지만, CaCeC를 [CejCeC]로 읽는 것은 그다지 좋은 습관이 아닌 것 같다. /x/를 ㄱ으로 읽기는 아무래도 어색해서 라테흐라고 읽고 싶어도 언어학과 바깥에서는 통할 것 같지 않다.) 패키지로는 이 세 가지가 있다.

  • gb4e: 예문을 삽입한다. 특히 외국어 예문에서 형태소마다 의미를 설명하기에 적합하다.
  • qtree, parsetree, xytree: 통사 나무를 그린다. 언어학에서 쓰기에는 qtree가 제일 나은 것 같지만, oblivoir와 동시에 쓸 수는 없다. 동시에 쓰려면 명령어 이름 몇 개를 새로 정의해야 한다는데 귀찮아서 자세히 알아보지는 않았다.
  • TIPA: 국제 음성 기호를 쓴다. 구별 부호(diacritic)와 성조 기호까지 아름답게 나타낼 수 있다.

TIPA를 쓴 지는 꽤 오래되었지만, 같은 폴더 안에 있는 vowel을 발견한 것은 겨우 며칠 전, 그것도 우연한 일이었다. 별생각 없이 vowel.tex을 열어 보았다가 첫 장부터 나오는 모음 사각도에 입이 딱 벌어졌다. “크아아악, 후쿠이 레이 선생님, 이런 보물을 개발해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하면서 기뻐서 펄쩍 뛰어올라 머리를 흔들다가 데굴데굴 구르면서 괴성을 질렀다. 아무래도 감사의 표시로 맛 좋은 롤케이크와 홍차를 일본으로 보내야겠다. 라텍을 쓸 생각이 있는 언어학과 학생들은 모두 동참하시라.

어쨌든 모음 사각도가 생겼으니까 모음을 마구 찍어 보자. 아쉽게도 단모음 점찍기만 가능한 것 같지만, 언어학과 친구들에게 라텍의 이점을 알리기에 부족하지는 않다.

0. ko.TeXTIPA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usepackage{kotex} % 한글을 쓸 수 있어요.
\usepackage{tipa} % 국제 음성 기호를 쓸 수 있어요.
\usepackage{vowel} % 모음 사각도를 그릴 수 있어요.

1. 일단 기본 모음 사각도설명서 그대로 만들어 보았다. 이렇게 아름다울 수가.

기본 모음 찍기: \putcvowel[모음 이름 위치]{모음 이름}{기본 모음 번호}

Cardinal Vowels

\begin{vowel}
\putcvowel[l]{i}{1}
\putcvowel[r]{y}{1}
\putcvowel[l]{e}{2}
\putcvowel[r]{\o}{2}
\putcvowel[l]{\textepsilon}{3}
\putcvowel[r]{\oe}{3}
\putcvowel[l]{a}{4}
\putcvowel[r]{\textscoelig}{4}
\putcvowel[l]{\textscripta}{5}
\putcvowel[r]{\textturnscripta}{5}
\putcvowel[l]{\textturnv}{6}
\putcvowel[r]{\textopeno}{6}
\putcvowel[l]{\textramshorns}{7}
\putcvowel[r]{o}{7}
\putcvowel[l]{\textturnm}{8}
\putcvowel[r]{u}{8}
\putcvowel[l]{\textbari}{9}
\putcvowel[r]{\textbaru}{9}
\putcvowel[l]{\textreve}{10}
\putcvowel[r]{\textbaro}{10}
\putcvowel{\textschwa}{11}
\putcvowel[l]{\textrevepsilon}{12}
\putcvowel[r]{\textcloserevepsilon}{12}
\putcvowel{\textsci\ \textscy}{13}
\putcvowel{\textupsilon}{14}
\putcvowel{\textturna}{15}
\putcvowel{\ae}{16}
\end{vowel}

2. 브라질 포르투갈어 비강 모음을 찍었다. 일반 모음은 사각도에서 왼쪽 위 꼭짓점을 {0px}{0px}으로 해서 오른쪽과 아래로 각각 이동한 픽셀만큼을 적어 준다.

브라질 포르투갈어 비강 모음 음가의 출처: BARBOSA, P.A. & E. C. ALBANO (2004), Brazilian Portugues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4 (2): 227-232.

모음 찍기:\putvowel[모음 이름 위치]{모음 이름}{가로 위치}{세로 위치}

Brazilian Portuguese Nasal Vowels

\begin{vowel}
\putvowel[l]{\~\i}{25px}{15px}
\putvowel[r]{\~u}{56px}{15px}
\putvowel[l]{\~e}{35px}{33px}
\putvowel[r]{\~o}{61px}{33px}
\putvowel[l]{\~\textturna}{52px}{46px}
\end{vowel}

3. 한국어 모음을 찍을 때는 점 대신 그 자리에 바로 음성 기호를 써 보았다. 글씨 크기를 매우 작게 줄여야 했다.

한국어 모음 음가의 출처: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1999).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20–122.

Korean Vowels in IPA

\begin{vowel}
\putvowel{\tiny i}{15px}{7px} %이
\putvowel{\tiny i\textlengthmark}{8px}{4px} %이:
\putvowel{\tiny e}{32px}{31px} %에
\putvowel{\tiny e\textlengthmark}{23px}{23px} %에:
\putvowel{\tiny \o}{37px}{29px} %외
\putvowel{\tiny \o\textlengthmark}{27px}{29px} %외:
\putvowel{\tiny \textepsilon}{36px}{35px} %애
\putvowel{\tiny \textepsilon\textlengthmark}{34px}{43px} %애:
\putvowel{\tiny a}{58px}{53px} %아
\putvowel{\tiny a\textlengthmark}{68px}{56px} %아:
\putvowel{\tiny \textturnm}{68px}{9px} %으
\putvowel{\tiny \textturnm\textlengthmark}{68px}{5px} %으:
\putvowel{\tiny u}{74px}{9px} %우
\putvowel{\tiny u\textlengthmark}{75px}{5px} %우:
\putvowel{\tiny o}{72px}{31px} %오
\putvowel{\tiny o\textlengthmark}{75px}{27px} %오:
\putvowel{\tiny \textturnv}{76px}{43px} %어
\putvowel{\tiny \textturnv\textlengthmark}{54px}{23px} %어:
\end{vowel}

4. 역시 점을 찍는 것이 나은 것 같아서 다시 점을 찍고, 국제 음성 기호 대신 한글로 모음 이름을 표시했다. 글씨 크기를 제일 작게 줄였는데도 가리는 글자가 생긴다.

Korean Vowels in Orthography

\begin{vowel}
\putvowel[r]{\tiny 이}{15px}{7px}
\putvowel[l]{\tiny 이\textlengthmark}{8px}{4px}
\putvowel[l]{\tiny 에}{32px}{31px}
\putvowel[l]{\tiny 에\textlengthmark}{23px}{23px}
\putvowel[r]{\tiny 외}{37px}{29px}
\putvowel[l]{\tiny 외\textlengthmark}{27px}{29px}
\putvowel[r]{\tiny 애}{36px}{35px}
\putvowel[r]{\tiny 애\textlengthmark}{34px}{43px}
\putvowel[l]{\tiny 아}{58px}{53px}
\putvowel[r]{\tiny 아\textlengthmark}{68px}{56px}
\putvowel[l]{\tiny 으}{68px}{9px}
\putvowel[l]{\tiny 으\textlengthmark}{68px}{5px}
\putvowel[r]{\tiny 우}{74px}{9px}
\putvowel[r]{\tiny 우\textlengthmark}{75px}{5px}
\putvowel[l]{\tiny 오}{72px}{31px}
\putvowel[l]{\tiny 오\textlengthmark}{75px}{27px}
\putvowel[l]{\tiny 어}{76px}{43px}
\putvowel[r]{\tiny 어\textlengthmark}{54px}{23px}
\end{vowel}

5.몇 달 동안 포스트로 쓰려고 생각만 하고 있던 소재를 모음 사각도에 그려 보았다. 전남과 경남 모음의 음가는 내 주관적 판단으로 표시했다.

Some Korean Dialects

\begin{vowel}
\putvowel[r]{\tiny 이(서울)}{8px}{4px}
\putvowel[r]{\tiny 이(전남)}{17px}{12px}
\putvowel[l]{\tiny 으(서울)}{68px}{5px}
\putvowel[r]{\tiny 으=어(경남)}{50px}{15px}
\putvowel[r]{\tiny 어\textlengthmark(서울)}{54px}{23px}
\end{vowel}

6. 모음의 위치를 픽셀로 표시하는 것보다는 사각도 내에서 상대적인 위치를 알려 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 px 대신 가로는 \vowelvunit, 세로는 \vowelhunit을 사용하면 된다. 그냥 (0,0)과 (2,3)을 잇는 선을 세로축으로 했다면 더 편했을 것 같다. 작은 사각형 내부에 있는 점의 위치를 계산하기가 좀 귀찮다. 어쨌든 상대 좌표를 구하는 데 참고하려고 각 꼭짓점의 좌표를 적어 보았다.

Vowel Coordinates

\begin{vowel}
\putvowel[l]{\tiny (0,0)}{0\vowelvunit}{0\vowelhunit}
\putvowel[r]{\tiny (2,0)}{2\vowelvunit}{0\vowelhunit}
\putvowel[r]{\tiny (4,0)}{4\vowelvunit}{0\vowelhunit}
\putvowel[l]{\tiny (0.66,1)}{0.66\vowelvunit}{1\vowelhunit}
\putvowel[r]{\tiny (2.33,1)}{2.33\vowelvunit}{1\vowelhunit}
\putvowel[r]{\tiny (4,1)}{4\vowelvunit}{1\vowelhunit}
\putvowel[l]{\tiny (1.33,2)}{1.33\vowelvunit}{2\vowelhunit}
\putvowel[r]{\tiny (2.67,2)}{2.67\vowelvunit}{2\vowelhunit}
\putvowel[r]{\tiny (4,2)}{4\vowelvunit}{2\vowelhunit}
\putvowel[r]{\tiny (3,3)}{3\vowelvunit}{3\vowelhunit}
\putvowel[l]{\tiny (2,3)}{2\vowelvunit}{3\vowelhunit}
\putvowel[r]{\tiny (3,3)}{3\vowelvunit}{3\vowelhunit}
\putvowel[r]{\tiny (4,3)}{4\vowelvunit}{3\vowelhunit}
\end{vow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