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은 큰맘 먹고 교수식당으로 저녁을 먹으러 갔다. 각자 먹을 것을 고르는데, 한 친구가 연어구이와 고등어조림 사이에서 고민했다.
“연어는 고향으로 돌아가려고 강물을 힘들게 거슬러 올라가니까 고등어를 먹어야지.”
“고등어에게도 우리가 모르는 미덕이 있을 거야. :-P”
이렇게 말했더니, 미덕이라는 표현 때문에 다들 웃었다.
나중에 [[한시외전]]에서 그때 일이 떠오르는 대목을 발견했다. 이 친구에게 닭도 먹지 말라고 알려 주어야 하나?
이윤은 하를 떠나 은으로 갔다. 전요는 노를 떠나 연으로 갔다. 개자추는 진을 떠나 산속으로 갔다. 전요는 노 애공 밑에서 일했지만 주목받지 못해서, 애공에게 이렇게 말했다.
“저는 임금님에게서 물러나겠습니다. 고니가 중용되겠군요. ((黃鵠舉矣에서 黃鵠이 주어이면 舉를 어떻게 해석하지?)) ”
애공이 말했다.
“무슨 말인가?”
“군주께서는 저 닭을 못 보셨습니까? 머리에 관을 쓴 것은 문입니다. 발에 며느리발톱을 단 것은 무입니다. 적이 앞에 있을 때 싸움을 무릅쓰는 것은 용이고, 밥을 보고 상대를 부르는 것은 인이며, 밤을 지키면서 때를 놓치지 않는 것은 신입니다. 닭이 이러한 덕목 다섯 가지를 갖추었는데도 군주께서 이놈을 매일 데쳐서 잡수시는 것은 어째서일까요? 바로 닭이 온 곳이 가깝기 때문입니다. 저 고니는 단번에 천 리를 날아와서 임금님의 정원이며 연못에 죽치고는 임금님께서 키우시는 물고기나 자라를 잡아먹고 기장이나 대들보를 쪼기나 하지 이와 같은 다섯 가지 덕은 없는데, 군주께서 이를 소중히 여기시는 것은 어째서이겠습니까? 고니가 온 곳이 멀기 때문입니다. 저는 물러가겠습니다. 고니가 중용되겠지요.”
애공이 말했다.
“잠깐, 내가 그대의 말을 적어 놓겠다.”
전요가 말했다.
“제가 듣기로는 밥을 먹으면 그릇을 깨지 않고, 나무 그늘의 덕을 보면 가지를 꺾지 않는다고 합니다. 저를 쓰지도 않으시는데 말을 적으셔서 무엇합니까?”
그리고는 떠나서 연으로 갔다. 연에서는 그를 재상으로 임명했다. 삼 년이 지나자 연의 정치는 매우 안정되고 국내에 도둑과 강도가 사라졌다. 애공은 휴우 하며 매우 탄식하고, 이 때문에 침소를 피한 것이 석 달이었고, 의복을 줄였다.
“처음에 신중하지 못하고 나중에도 뉘우치지 않으면 다시 무엇을 얻을 수 있겠는가?”
伊尹去夏入殷。田饒去魯適燕。介子推去晉入山。田饒事魯哀公而不見察,謂哀公曰:“臣將去君,黃鵠舉矣。”哀公曰:“何謂也?”由饒曰:“君獨不見夫雞 乎?[首戴冠者,文也。足搏距者,武也。] ((이 부분은 위키 소스 본문에서 빠져 있다. 예문서원에서 나온 번역본(임동석 역, 2000년 출간)의 원문에서 보충해서 넣었다.)) 敵在前敢鬬者勇也,見食相呼者仁也,守夜不失時者信也。雞雖有此五德,君猶日瀹而食之者何也?則以其所從來者近也。夫黃鵠一舉千里,止君園池,食君魚鱉, 啄君黍粱,無此五德者,君猶貴之者何也?以其所從來者遠也。故臣將去君,黃鵠舉矣。”哀公曰:“止!吾將書子之言也。”田饒曰:“臣聞食其食者,不毀其 器。陰其樹者,不折其枝。有臣不用,何書其言為?”遂去之燕。燕立以為相。三年,燕政大平,國無盜賊。哀公喟然太息,為之辟寢三月,減損上服。曰: “不慎其前無悔其後,何可復得?”
http://zh.wikisource.org/wiki/%E9%9F%93%E8%A9%A9%E5%A4%96%E5%82%B3/%E5%8D%B7%E7%AC%AC2
이 포스트는 채식 옹호와는 전혀 무관하다. 이런 말은 덧붙이기도 낯뜨겁다.